한국, 중국, 일본, 미국 세계인의 두부사랑 이야기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두부 사랑은 실로 대단해서 끼니 때마다 밥 대신 두부를 먹을 정도라고 합니다. 미국 여배우 기네스 팰트로는 에서 두부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클린턴 대통령 시절, 두부는 백악관의 식탁에 정기적으로 오르는 식품이기도 했습니다. 아시아 몇몇 나라에서만 먹던 두부는 이제 온 세계인들이 즐겨 먹는 식품입니다. 그렇다면, . . . . . . . 한국, 중국, 일본, 그리고 미국의 두부 사랑은 어느 정도일까요? 우리가 먹는 이 두부와 그들이 먹는 그 두부는 무엇이 닮았고, 무엇이 다를까요? 한-중-일-미… 두부 사랑, 그 현장을 들여다봅니다~! 이들 각 나라의 두부 제조 방식과 완성된 두부의 맛, 모양, 질감은 서로 비슷하지만 즐기는 방법에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중국-일..
누가 '콩'으로 '메주'를 쑤기 시작했을까?......발효식품 '장'의 역사, 된장의 종류~
혹시, 이런 기억 있으신가요? 방과 후, 따뜻한 아랫목에 뛰어들어갔더니 떡- 하니 한자리 차지하고 있는 콤콤하고 못생긴 메주, 할머니가 보물단지처럼 아끼는 장독대 항아리를 몰래 열자 코끝을 덮치던 고리한 냄새, 며칠째 온 동네를 감싸고 있는 간장 달이는 오묘한 냄새, 킁킁- 주로 후각적인 자극에 기대고 있는 이 기억들은 모두~ 발효식품 '장'에 대한 기억이군요. +ㅅ+ ㅎㅎ 요즘에는 가족의 수도 많지 않고 손도 많이 가기 때문에 '장'을 담그기보다는 사먹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편인데요. 예전에는 확실히 집에서 메주를 만들고, 간장을 달이곤 했었지요. 그런데 누가 언제부터 콩으로 메주를 쑤기 시작했을까요? 된장을 먹고, 간장을 달이기 시작한 건, 도대체 언제부터였을까요? 동양의 발효식품, '장'의 역사와 ..
토란, 우엉, 연근을 얹은 '뿌리채소 두부 영양밥'
뿌리채소 두부 영양밥 준비하세요 현미 찹쌀 2컵, 풀무원 국산콩 두부 1모, 토란 9개, 우엉 1/2개, 연근 1/2개, 당근 1/2개 청주 1큰술, 간장 1과 1/2큰술, 소금 2/3작은술 만들어보세요 1 현미 찹쌀은 씻어 밥물을 조금 적게 두어 압력솥에 넣어둔다. 2 두부는 종이 타월에 싸서 체에 밭쳐 20분 이상 물기를 뺀 다음 기름 두른 팬에서 양면을 노릇노릇하게 지져 내어 준비한다. 3 토란은 껍질을 벗겨 1cm 두께로 썰고 소금을 약간 뿌린 다음 비벼서 끈적거리는 것을 씻어 낸다. 우엉은 솔로 껍질을 문질러 씻어 4~5cm 길이로 어슷 썬다. 연근은 껍질을 깎아 1cm 두께로 반달썰기하고 당근은 우엉과 같은 크기가 되도록 썬다. 4 ①에 청주, 간장, 소금을 넣어 섞고 그 위에 손질한 뿌리채소..
손쉽게 만드는 푸짐한 중화요리, 마파두부...마파두부 소스 만드는 법~
마파두부 준비하세요 풀무원 국산콩 두부(연두부도 가능) 1모, 돼지고기(등심) 300g, 다진 마늘 2큰술, 대파 1/2대, 두반장 1큰술, 소금&참기름 약간씩, 식용유 적당량 마파소스: 청주&간장 각 2큰술씩, 물 1컵, 된장&설탕 각 1작은술씩, 녹말 1큰술 만들어보세요 1 돼지고기는 너무 곱지 않게 다지고, 대파도 잘게 다진다. 2 분량의 재료를 섞어 마파 소스를 만든다. 3 두부는 가로 세로 2cm 크기로 깍둑썰기 한다. 이것을 소금을 조금 넣은 끓는 물에 넣어 떠오를 때까지 살짝 데쳐서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이렇게 해야 두부가 잘 부서지지 않는다. 4 팬에 달구어 기름을 두르고 다진 마늘과 다진 대파를 넣어 볶는다. 향이 나면 돼지고기를 넣어 좀 더 볶는다. 5 돼지고기가 익으면서 기름이 배..
구수한 맛이 일품~! 영양으로 가득찬 콩비지 찌개
콩비지 찌개 준비하세요 풀무원 콩비지 1팩, 돼지고기 150g, 김치 150g, 새우젓 1큰술, 참기름 약간 돼지고기 양념: 다진 마늘 1/2큰술, 다진파 1큰술, 참기름 1작은술 양념장: 간장 3큰술, 다진 마늘 1/2큰술, 다진 생강 1작은술, 다진 파 1큰술, 고춧 가루 2큰술, 깨소금&참기름 각 1큰술씩 만들어보세요 1 돼지고기는 한 입 크기로 얇게 썰어 돼지고기 양념으로 무치고, 김치는 양념을 대강 털어내고 송송 썬다. 2 뚝배기를 달구어 참기름을 두르고 돼지고기와 김치를 넣고 볶는다. 김치에 기름이 돌면 콩비지를 넣고 약한 불에서 뭉근히 끓이다가 새우젓으로 간을 한다. 양념장을 곁들여 먹으므로 간을 약하게 하는 것이 좋다. 3 분량의 재료로 양념장을 만들어 콩비지찌개에 곁들인다. ㅣ본 컨텐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