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힘은 밥과 김치에서 나온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배추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그리고 즐겨먹는 채소 중 하나인데요.
겨울이면 먹을 것이 없던 그 옛날
선조들의 지혜를 바탕으로 저장식품으로 탄생한 배추~!
하지만 겨울에 김장을 하는 이유가 단지 이것뿐이 아니라는 사실~!
배추는 가열하거나 소금에 절여도 남아있을 정도로
비타민C가 풍부하기 때문에
겨울철 감기 예방과 치료에도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오오- 역시!
우리 선조들은 정말 스마트~하지 말입니다~. 으쓱으쓱~.
이렇게 중요한 배추~!
과연 어떻게 고르고 또 어떻게 먹어야 할까요?
배추에 대한 궁금증을 풀무원 사외보 <자연을담는큰그릇>을 통해 풀어봤습니다.
한겨울, ‘배추’로 차린 영양 식탁 어때요? 가열하거나 소금에 절여도 용하게 비타민이 남아 있단다. 겨울철 주요 비타민 공급원, ‘배추’로 영양 넘치는 별미 밥상에 도전해본다. 글. 김미정(자유기고가) |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즐겨 먹는 채소 중 하나다. 종류도 여러 가지인데, 속이 노랗게 꽉 찬 김장용 배추부터 겨울바람 이겨낸 얼갈이, 봄동 같은 월동 배추, 이른 봄에 씨를 뿌려 수확한 수분이 많은 봄 배추, 여름철 고랭지 배추 등 수확 시기와 품종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비타민C가 풍부해 겨울철 주요한 비타민 공급원이기도 한 배추는 겨울철 감기 예방과 치료에도 효능이 있다.
뼈에 좋은 칼슘과 변비에 좋은 부드러운 섬유질도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 칼륨, 철, 카로틴도 풍부하다. 김치를 담가 먹으면 익는 동안 유산이 생겨 정장작용을 하고 항콜레스테롤, 항암 효과도 지닌다. 따라서 끼니마다 배추김치만 먹어도 변비 예방 및 대장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단, 배춧속의 식이섬유는 배변을 촉진하기 때문에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정말 맛있는 배추 고르는 법
김장용 배추를 심었다가 미처 결구가 되지 않은 배추는 뽑지 않고 월동시킨 후 봄에 수확하는데 이것이 바로 봄동이다. 노지에서 겨울을 나기 때문에 잎은 최대한 햇빛을 많이 받기 위해 꽃이 피듯 벌어진다. 잎은 조금 두껍지만 수분이 많고 고소한 단맛이 난다. 사각거리며 씹히는 맛이 좋아 겉절이나 쌈, 부침 등을 해먹으면 좋다. 속이 노랗고 잎의 수가 많으면서도 낱장의 크기가 너무 크지 않은 게 맛있다. 늦가을에서 초겨울에 파종하여 봄에 수확하는 얼갈이는 속이 반쯤 찬 반결구 상태의 배추. 보통 배추보다 줄기가 얇고 크기도 절반가량인데 열무와 함께 봄여름 김치 재료로 쓰이며 겉절이, 국거리 채소로도 많이 먹는다. 너무 크면 맛이 없다. 줄기가 연하고 길이가 20cm 남짓한 얼갈이가 싱겁지도 않고 맛이 좋다.
탕으로 밑반찬으로 날것으로
ㅣ본 컨텐츠는 풀무원 사외보 <자연을담는큰그릇>에서 발췌하였습니다.
'Food & Recipe > 그 푸드? 저 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콩'으로 '메주'를 쑤기 시작했을까?......발효식품 '장'의 역사, 된장의 종류~ (9) | 2012.02.27 |
---|---|
복잡한 치즈의 세계를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부제: 치즈의 종류와 좋은 치즈 고르는 법] (16) | 2012.02.01 |
알고 보면 주연의 역량? 점잖은 양념의 감초...'파'의 영양 & '파' 고르는 법 (2) | 2012.01.02 |
김치와 치즈의 공통점은?! 서양의 대표발효식품 '치즈'에 대한 모든 것~! (8) | 2011.12.19 |
풀무원의 오랜, 두부 제조 비법 공개! (11) | 2011.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