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거리를 걷다보면 눈길을 사로잡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김이 모락모락 올라오는 '어묵'인데요.
긴긴 겨울밤 집에서 뚝딱 끓여 만든 어묵탕 속
어묵꼬치를 하나 꺼내 간장에 살짝 찍어 먹는 그 맛은..
캬~~~ 가슴속까지 따뜻해지는 듯한 느낌입니다.
그런데, 우리 풀사이 가족분들은
평소 어떤 기준으로 어묵을 고르시나요?
가격? 모양? 아니면 브랜드? ^ ^
오늘 포스팅하는 어묵에 대한 글을 읽으시면
마트에서 어묵을 고를 때
무엇을 주의해야할지 아실 수 있지 말입니다. 시작할까요?
^ ㅅ ^
후후 불어먹는 겨울 별미의 제왕,
어묵
꼬치에 꿰어 양념간장에 콕 찍어 먹고,
잔잔히 썰어 잡채에 넣으면 영양 만점 밥반찬도 된다.
무가 동동 떠있는 뜨끈한 어묵 국물도 겨울철 별미 중 별미.
올겨울엔 어묵 한번 실컷 먹어보자.
중국 어묵, 일본 어묵
어묵은 말 그대로 물고기를 묵처럼 만든 것인데, 생선살을 넣고 각종 부재료를 넣어 배합한 후 각종 모양을 만들어 식용유에 튀겨낸다. 흔히 일본에서 전해진 음식으로 알려지지만 사실 생선을 살만 발라 으깨서 요리해 먹은 것은 문헌상 중국이 가장 앞선다. 최초로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이 생선 가시를 무척 싫어해 담당 주방장이 생선살만 발라 형형색색의 완자를 빚어 탕 재료로 사용했던 것이 시초다. 일본에서 어묵이 발전한 시기는 한참 뒤인 14세기에서 16세기 사이의 일본 무로마치 시대다. 처음에는 생선살을 으깨어 둥글게 빚은 후 꼬챙이에 붙여 구워 먹다가 무로마치 시대부터 나무판 위에 생선살을 놓고 구워 먹었다. 생선살을 쪄서 먹은 시기는 에도시대로, 이때 만들었던 조리법이 오늘날 일본 어묵 ‘가마보코’를 탄생시킨 바탕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묵을 ‘오뎅’, ‘덴뿌라’로 혼용해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실 이들의 의미는 각각 다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말 그대로 물고기를 묵처럼 만든 것이 ‘어묵’이라면 ‘오뎅’은 어묵, 유부 무, 곤약 등을 꼬치에 꿰거나 넣어 끓인 ‘탕’을 말하는 것이고, ‘덴뿌라’는 ‘튀김’이라고 볼 수 있다.
무첨가, 생선살 함량 꼼꼼히 따져야
어묵은 마트에서도 주부들의 단골 반찬거리로 인기다. 종류도 수십 가지가 넘는데, 모양도, 속에 들어가는 부재료도 형형색색 가지가지다. 어묵과 잡채가 만난 잡채 말이 어묵이 있는가 하면 뜨거운 탕 요리와 잘 어울리는 날씬 길쭉한 어묵, 떡볶이에 넣어 먹으면 부드럽게 씹히는 납작한 사각 어묵, 동글동글해 한 입에 먹기 좋은 볶음용 작은 어묵, 꼬치용 어묵, 생선살에 당근•부추•파 등 채소를 넣은 어묵 등 뭐 하나만 따로 고르기가 쉽지 않다. 구입 요령은 조리 용도에 적합한 크기나 맛의 제품을 고르되, 제품 포장지에 표시된 식품첨가물의 유무를 꼼꼼히 따져보는 것. 생선은 상하기 쉬운 재료인 만큼 유통 시 산패를 막기 위한 산화방지제나 보존료, 방부제를 사용하기도 하고, 합성 착색료나 화학조미료까지 마다치 않는 제품이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제조공정의 위생 환경을 증명하는 HACCP(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위해 음식 집중 관리제도)를 도입한 제품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최근에는 식품첨가물 무첨가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층을 위해 감칠맛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MSG, 합성 착색료, 합성보존료(솔빈산칼륨) 등을 일절 첨가하지 않거나 제조원가를 낮추려고 들어간다는 밀가루와 전분도 사용하지 않고 생선살 함량을 86퍼센트 이상으로 높인 제품이 나와 소비자의 환영을 받고 있다.
그때그때 사서 바로바로 먹어요
어묵 요리는 조리가 간편하고 초보자도 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소화도 잘 되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 아이들 영양 간식이나 밥반찬으로 손색이 없다. 멸치, 다시마, 무를 넣고 우린 국물에 양파, 다진 마늘을 넣고 뜨끈뜨끈한 탕을 끓여 먹어도 좋고, 길게 채 썰어 월남 쌈이나 샤부샤부 재료로 넣으면 색다르게 느껴진다. 어묵은 상온에 그냥 두면 상하기 쉬우므로 한 가족이 먹을 수 있는 적당량을 구입하여 바로 먹거나, 냉장 보관하여 먹는 것이 어묵의 제맛을 즐기는 방법이다.
*본 컨텐츠는 풀무원 사외보
<자연을담는큰그릇>에서 발췌하였습니다.
posted by 풀반장
'Food & Recipe > 그 푸드? 저 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풀무원 두부가 TV에 나왔어요!] (25) | 2010.01.27 |
---|---|
팥, 땅콩으로 두부를 만들 수 있을까? - 풀반장의 두부 탐구생활 (17) | 2010.01.26 |
가슴 속 추위마저 녹여줄 겨울별미 '어묵', 구입시 주의할 점! (24) | 2010.01.25 |
눈꺼풀 떨림, 두통! 내 몸에 '시금치'가 부족해서라구요? (13) | 2009.12.07 |
기억력 나쁘면 시금치를 먹어라?...'뽀빠이'의 영원한 친구 '시금치'의 비밀~! (14) | 2009.12.05 |
행복한 닭이 맛있는 달걀을 낳는다구요? : 풀반장과 함께 하는 달걀 완전 정복~! (4) | 2009.11.28 |
어떤 제품은 생선살의 함량을 표시하지않는 제품도 있더라구요... 가족을 위해 좀더 꼼꼼히 살펴보고
제대로된 맛있는 어묵을 골라봐야겠어요^^
오늘 밤에는 魚가 씹히는 어묵 한점 어떠세요?
점심때가 되니 배가 꼬르륵 ㅠㅠ
저번에 티비에서 생선살 비율 조사하는거 봤는데
생선살이 많을 수록 맛이 더 좋겠죠?ㅎㅎㅎ
전분 대신 생선살이 들어있는거니 훨씬 좋겠죠 ^^
오늘아침 어묵 볶음 했어요 ㅎㅎ 요즈음은 어묵탕이 너무 맛이 좋지요
다시금 추워진 날씨 속에서 출근을 하고나니
어묵탕이 급~! 땡기네요. ㅜ.ㅠ
글보니깐
오늘처럼 찬바람이 많이 부는날엔
어묵국물 생각이 간절하네요 ㅠㅅㅠ
오늘은 정말로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추워요..ㅜ.ㅠ
오늘처럼 바람 많이 불고 추운날 뜨끈한 어묵 생각나죠~~
히히 술을 잘 못하지만..얼큰한 어묵탕에 쐬주한잔 하고싶네요
히히 ^^
아앗~!
쐬주라니요.. 이러시면 곤란하시어요~ ㅎㅎ
오늘같은 반짝 추위에 어묵탕 한그릇 먹으면 몸과 마음이 훈훈~든든~
어묵,오뎅,덴뿌라의 의미도 확실히 알았어요^^ 어묵 현명하게 구입하는 요령 잘 배워가요~
도움이 되었다니 좋네요 ^^
전 이 포스트를 통해 '어묵/오뎅/덴뿌라'차이를 알게 되서
요즘 여기저기 써먹고 다녀요.ㅎㅎ
방송에서 어묵관련내용을 한적이 있지용~ 유심히 보고 얼마나 걱정이되던지~
엄마들 시장가고 마트가면 자주 올리는 어묵이 많은 배신?!을 때려서용~;
그렇지만 얼마전 풀무원에서 보내주신 어묵을 살펴보니 얼마나 내용이 실하던지 ㅋ
하나 꺼내서 씹어보니 씹는맛이 좀 틀리더라구용~일반 어묵은 잘근잘근 씹히는맛인뎅
풀무원에서 보내주신거 먹어보니 약간 씹힐때 몰랑몰랑 점프를 하더라구용 ㅎㅎ
뒷맛이 좀 깨끗?!했어요~ 덜 느끼하구요~아~ 어묵도 가려서 먹어주는센스를 ㅎㅎㅎ
그 이유는 전분이 아니라 생선살이 들어있기 때문이랍니다.
http://blog.pulmuone.com/272
이 포스트를 보시면 자세한 이야기를 알 수 있으실듯요~ ^^
(제목도 멋집니다 '그 맛있던 어묵에는 ‘어(魚)’가 있었을까?')
저도 예전에는 어묵의 생선살 함량이 중요한지 몰랐어요
제가 먹었던 어묵들이 밀가루가 그렇게 많이 들어있었다니 놀랍기도 하고...
어쨌든 풀무원 어묵이 나와서 너무너무 좋답니다. ^ ^
풀무원에서 더 많은 제품들이 나오길 바래요~~파이팅요~
와 이 이야기를 어묵담당PM님들께 보여드리고
이렇게 관심있게 지켜보는 분들이 많으시니
더욱 멋진 제품으로 보답하세요~!! 라고 말씀드려야 겠네요
분명 좋아하시겠죠?
아..아니 부담을 느끼실려나? ^^;;
풀무원 어묵 진짜 쫄깃하더라구요~
첨에는 이게 어묵맛이었어? 하면서 좀 어색했었는데
지금은 순살어묵의 쫄깃한 맛의 매력에 빠져 산다는...
저는 주로 탕.찌개용 사서 먹거든요. 거기엔 국물용 소스가 들어있어서 ㅎㅎ
근데 이젠 볶음용 이런것도 한번 사먹어보려구요, 풀무원 어묵 좋아요!
저도 처음에 저희 어묵을 먹고
'어헛~!' 했던 것 같아요.
그동안 진짜 魚를 맛보지 못한 탓일까요? ^^
어묵의 생명은 생선살 함량이죠.....
앞으로는 꼭 살펴보고 구입해야겠어요
그럼.. 우리 어묵은 게임으로 치면
H.P(에너지)가 많이 차있는건가요? ^^
너무 맛있겠어요.아...침 넘어가요.
오늘처럼 겨울비 오는 날에는 더욱 생각나네요.
저도 저녁에 사다가 해 먹어야겠어요.
당연히 풀무원 어묵이겠지요? ㅎㅎㅎ
아까 잠시 창밖을 바라보니 무척 흐리더니만
결국 겨울비가 되어 땅을 적시네요. ㅎㅎ
저도 숟가락 하나 들고
놀러가면 좀 나눠주시나요? ^^
물오뎅 때문에 제가 겨울에는 꼭 한국에 가고 싶어요;ㅁ;
붕어빵, 호떡도 그립구...
한가지...재미있는 사실을 알려 드리자면!
일본은 오뎅친구들을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거든요.
오뎅만 있는게 아니고 여러가지가 담겨져 있는데,
한국에서는 찬밥(?)취급을 받는 무도 팔아요. 한 80엔 정도.
전 오뎅보다 이 무를 더 좋아합니다. 오뎅은 그저 한국의 부산오뎅(?)이 짱인듯;
허억... 어묵속에 무도 판다구요?
정말 허걱허걱~!!